임신 중에는 감기, 속쓰림, 변비, 치질 같은 증상이 흔히 나타납니다.
하지만 “약을 먹어도 괜찮을까?”라는 불안 때문에 증상이 심해질 때까지 참는 경우가 많습니다.
모든 약이 위험한 것은 아닙니다. 국내외 가이드라인과 임상 경험을 통해 안전성이 확인된 약물들이 있으며, 약국에서 구할 수 있는 일반의약품 중 일부는 임신 중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임산부 약 복용은 반드시 ① 최소 용량 ② 단기간 사용 ③ 성분 중복 확인이 원칙이며,
증상이 오래가거나 심해지면 반드시 의사·약사 상담이 필요합니다.
아래는 임산부도 안심하고 쓸 수 있는 일반의약품(OTC)을 12가지 증상별로 정리한 자료입니다.
✅ 임산부에서 안전하게 쓸 수 있는 일반의약품 (12가지 증상별)
*제품 예시는 주위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대표제품으로 정리하였고, 동일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일반의약품의 경우
동일하게 사용하셔도 됩니다.
증상 | 성분 | 설명 | 제품 예시 |
1) 해열/소염/진통 | 아세트아미노펜 | 임신 전 기간 안전. 1차 선택 | 타이레놀 |
2) 알레르기 (콧물·재채기·가려움) |
클로르페니라민, 로라타딘, 세티리진 | 오래 사용 경험 많음. 로라타딘·세티리진은 졸림 적음 |
알지싹로라, 알지싹세티 |
3) 기침 | 덱스트로메토르판 단일제 | 비마약성 진해제. 1차 선택 | 단일제 없음 래피콜케어건조시럽(복합제-안전) |
4) 가래 | 아세틸시스테인 | 점액 용해, 비교적 안전 | 후루케어캡슐 |
5) 속쓰림/위산역류 | 제산제 | 비교적 안전. 장기·고용량 피함 | 겔포스 |
6) 소화불량 | 소화효소제, 시메티콘(가스 제거) | 대체로 안전. 단기 복용만. 진경제 피함 |
큐자임정, 속엔쿨(가스팽만) |
7) 설사 | 디옥타헤드랄 스멕타이트 | 흡수 안 됨. 대체로 안전 | 스타빅, 포타겔 |
8) 안구 충혈·가려움 | 인공눈물 | 1차 권장. 혈관수축제(나파졸린 등) 금지 |
아이오쿨 등 |
9) 코막힘 | 식염수 분무제 | 임산부 1차는 비약물(식염수) | 오트리빈베이비, 마플러스, 코앤 |
10) 변비 | 산화마그네슘, 차전자피 | 장기복용 피함. 물 충분히 섭취 | 마그밀, 장쾌락 |
11) 치질 | 국소제 (리도카인, 히드로코르티손 저농도, 포스테리산 연고) | 국소 단기간 안전. 장기 사용 피함 | 하티손로션, 포스테리산연고 |
12) 무좀 | 국소 항진균제 (테르비나핀, 시클로피록스 등) | 국소제는 안전, 경구제는 금기 | 바르지오 시리즈 |
1) 해열·소염·진통
- 추천 성분: 아세트아미노펜
- 제품 예시: 타이레놀
- 설명: 임신 전 기간에 안전성이 입증된 해열·진통제입니다. 두통, 근육통, 발열 시 1차 선택 약물입니다.
- 주의: 이부프로펜, 아스피린 등 NSAID 계열은 임신 후기 금기. 우먼스타이레놀, 타이레놀코드에스는 금기
2) 알레르기 (콧물·재채기·가려움)
- 추천 성분: 클로르페니라민, 로라타딘, 세티리진
- 제품 예시: 알지싹로라, 알지싹세티
- 설명: 임신부에서 사용 경험이 많은 항히스타민제입니다. 로라타딘과 세티리진은 졸림이 적어 낮에 사용하기 적합합니다.
3) 기침
- 추천 성분: 덱스트로메토르판 단일제
- 제품 예시: 국내 단일제 없음, 복합제인 래피콜케어건조시럽(콧물, 코막힘, 재채기, 기침, 인후통, 오한, 발열 등)에서 사용 가능
- 설명: 코데인 대신 임신부에게 권장되는 비마약성 진해제입니다.
4) 가래
- 추천 성분: 아세틸시스테인
- 제품 예시: 후루케어캡슐
- 설명: 가래를 묽게 하여 배출을 쉽게 해주는 점액용해제입니다.
5) 속쓰림·위산역류
- 추천 성분: 제산제
- 제품 예시: 겔포스(속쓰림), 위엔젤더블액션/개비*콘(역류성)
- 설명: 임산부 위식도 역류 증상 완화에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다만 장기간·고용량은 피하세요.
6) 소화불량
- 추천 성분: 소화효소제, 시메티콘
- 제품 예시: 큐자임정, 속엔쿨
- 설명: 체한 느낌, 음식 소화 불량, 장내 가스 제거에 도움이 됩니다.
- 주의: 진경제(부스코판, 디사이클로민 등)는 임부 금기.
7) 설사
- 추천 성분: 디옥타헤드랄 스멕타이트
- 제품 예시: 스타빅, 포타겔
- 설명: 장 내 독성 물질을 흡착하여 설사 증상을 완화합니다. 전신 흡수되지 않아 임부에게 안전합니다.
8) 안구 충혈·가려움
- 추천 성분: 인공눈물
- 제품 예시: 아이오쿨 등
- 설명: 안구 건조와 충혈 완화에 1차로 권장됩니다. 혈관수축제가 포함된 안약은 피해야 합니다.
9) 코막힘
- 추천 성분: 식염수 분무제
- 제품 예시: 오트리빈베이비, 마플러스, 코앤
- 설명: 코 점막을 세척하고 습윤하게 유지하여 안전하게 코막힘을 완화합니다.
10) 변비
- 추천 성분: 산화마그네슘, 차전자피
- 제품 예시: 마그밀, 장쾌락
- 설명: 마그밀은 삼투성 하제로 변을 부드럽게, 장쾌락은 식이섬유로 장 운동을 돕습니다. 복용 시 반드시 물을 충분히 섭취해야 합니다.
11) 치질
- 추천 성분: 리도카인, 히드로코르티손(저농도), 포스테리산 연고
- 제품 예시: 하티손로션, 포스테리산연고
- 설명: 통증 완화, 항염 효과가 있으며 국소적으로 단기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좌욕과 함께 병행하면 효과적입니다.
12) 무좀
- 추천 성분: 국소 항진균제 (테르비나핀, 시클로피록스 등)
- 제품 예시: 바르지오 시리즈
- 설명: 국소 도포제는 안전하게 사용 가능. 반대로 경구 항진균제는 임부 금기입니다.
임산부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이 많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알레르기약(알지싹 시리즈), 기침약(덱스트로메토르판, 래피콜케어), 가래약(후루케어), 제산제(겔포스), 소화효소제(큐자임, 속엔쿨), 설사약(스타빅), 인공눈물(아이오쿨), 식염수 분무제(오트리빈베이비), 변비약(마그밀·장쾌락), 치질약(포스테리산), 무좀약(바르지오) 등이 대표적입니다.
👉 반드시 최소 용량·단기간 사용 원칙을 지키고, 성분 중복은 피해야 하며, 증상이 지속될 경우 전문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몸에좋다는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0~1개월), 쓸 수 있는 약과 약 없이 어떻게 돌보는 방법! (0) | 2025.09.13 |
---|---|
수유부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국 일반의약품 가이드 (0) | 2025.09.06 |
비만치료제 마운자로 프리필드펜주, 제대로 알고 사용하기 (0) | 2025.09.06 |
소화기·장 건강을 위한 제한 식단 총정리 (글루텐프리 · 저 FODMAP · 렉틴프리 · 나이트셰이드프리) (10) | 2025.08.16 |